코딩 혼자하기 힘드시죠? 문의하시면 도와드립니다.

이력:

문의하는법: [email protected] 으로 메일을 보내주시면 답변드립니다.

❓질문 예시

초중급

진로 고민

<aside> ❓ 문과나왔고 수포자이고 대학도 전혀 관련없는 전공을 했습니다.

취업문제로 인해 코딩에 관심이 생겼는데.

1.개발쪽은 통계수학을 해야한다는데 문과생이며 수포자가 통계수학을 할수있는지?

  1. 코딩 직종에대한 간략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2. 코딩 직종에대한 국가고시 자격증이 있다면 어떤것이 있는지 어느 직종에 해당하는지

  3. 문과생이 코딩쪽 직종을 간다면 최대한 거부감이 없는 직종은 어디인지

  4. 제가 컴퓨터라곤 문서쪽으로만 자격증을 취득해봤는데 코딩을 하기엔 거부감이 없을지

  5. 코딩관련 학원은 국비지원으로 다닐예정인데 취업을 연계해주는 쪽, 포토폴리오 만들어주는쪽

한번 보고 결정해야한다는 말도 사양하겠습니다. 조금이라도 진입장벽이 낮은 직종을 알고싶어서 조사하고 정보수집하고나서 무료 강의나 유툽 찾아보고 결정하긴 할것이나, 전문가나, 직종에 직접 종사하시는 분들의 이야기가 듣고싶습니다.

</aside>

<aside> ✒️ 업계 종사자입니다.

  1. 모든 개발에 기본적으로 쓰이는 수학은 '논리'입니다, 즉 고1 집합과 명제, 함수 내용을 아시면 기본적인 개발은 하실 수 있습니다. 좀 더 도메인 특화된 개발을 할수록 수학적인 지식이 더 필요합니다.

개인적으로 아는 문과생 개발자 많습니다. 완전 어려운 수학적 지식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만 고등학교 수학정도는 배우고 이해하실 수 있는 수준이어야 현실적으로 개발자 업계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1. 다양합니다. 그리고 기업에서 말하는 직종이 실제 업무랑 다른 경우도 많고 알고보면 같은 직종인데 다른 언어로 포장하는 등 명확하지 않는게 많습니다. 그래서 직종보다 실제 맡을 업무를 확인하는게 가장 좋지만 비전공자 입장에서 알기 어려우므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직종만 나열합니다.

그 외 머신러닝(NLP, Audio, Video, ..), DevOps, 임베디드, 로봇, AR/VR 등등이 있습니다.

  1. 정보처리기사랑 그 외 코딩자격증이 여럿 있지만 제가 확실히 말해드리죠. 필요없습니다. IT대기업과 스타트업중 국가자격증을 요구하는 곳 없고 가산점도 주지 않을 확률이 높습니다.

  2. 사람마다 다르지만 업계에서 진입장벽이 가장 낮다고 인식되는 직종은 '웹 프론트엔드' 입니다.

  3. 문서와 코딩이랑 완전히 다릅니다. 코딩이 적성에 맞을지는 아무 프로그래밍 언어 수업을 한 번 들어봐야 압니다. "아 이런게 프로그래밍이구나"는 말로 전달하기 힘듭니다. 언어 선택은 목표 직종에 따라 다릅니다.

  4. 취업연계를 해주는 곳이라면 취업을 어디로 연계해주는지가 중요하고 포트폴리오 가이드를 해준다면 어떤 퀄리티로 만들어주냐에 따라 다릅니다. 즉 둘 중 한 방향이 절대적으로 우위에 있지 않습니다. 취업을 연계해주지만 낮은 연봉에 일만 많은 곳으로 해준다면 안좋겠죠. 개발자 교육기관이 많아져 학원에서 포트폴리오 가이드를 해준다는 것을 업계에서 어느정도 알고 있어서 예전만큼 매리트가 있지는 않습니다.

학원을 다니시는 것도 좋지만 그 전에 "전략"이 필요합니다. 나에게 주어진 시간을 먼저 정하고 그 안에 어느 기업에 취업하고 싶은지 정하고, 그 후에 목표로 하는 직종을 몇 개 정한 후 필요한 스킬셋을 주욱 나열합니다. 그다음 그 스킬셋을 하나하나 배우면서 서류전형에 어필할 수 있는것들을 준비하면 됩니다.

</aside>

<aside> ❓ 추가로 웹프론트엔드라는 직업에대해 간략하게 알려주실수있으실까요?

</aside>

<aside> ✒️ 네이버 지식인을 사용하고 있다면 질문자님이 보고계신 모든 화면을 만드는 직종입니다. 화면을 디자인하지는 않습니다. 그 역할은 UI/UX 디자이너가 담당합니다. 그 분들이 화면 설계서를 가지고 오면 그 설계서에 따라 컴퓨터 화면에 그림이 보이도록 코딩합니다. 또한 보여지는 각 요소가 마우스 클릭으로 반응하게도 만들고 보여지는 속도가 빨라지게 최적화도 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추가로 직종 소개 영상 하나 추천드립니다:

https://youtu.be/5KWBchI3g68

(여기 분들과 전혀 관계 없습니다.)

</aside>

언어 문법 질문

<aside> ❓ 파이썬에서 if__name__=="main": 는 무슨 말인가요?

</aside>

<aside> ✒️ 파이썬을 스크립트로 상태로 실행할때 수행할 코드를 안에 적기 위해 사용합니다.

파이썬 코드를 돌리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스크립트 상태 다른 하나는 로드 상태입니다.

스크립트 상태는 python main.py 처럼 CLI를 통해 코드를 실행하거나 IDE/에디터를 통해 실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반면 로드 상태는 import 문을 통해 돌리는 방법입니다. 파이썬 라이브러리를 import하게 되면 그 파일에 있는 내용을 가져오게 되는데 그때 돌리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a.pyb.py가 있다고 가정합시다.

a.py에는 print('a')가 적혀있고 b.py에는 print('b')가 적혀있습니다.

여기서 b.py 맨 위에 import a라고 적고 python b.py로 실행을 했습니다. 그럼 결과는

a

b

이렇게 뜹니다. b.py를 실행할 때 import a를 만났으니 a.py를 돌리고 그것의 수행히 끝난 후 남은 b.py 내용을 돌리는 겁니다.

여기서 b.py는 스크립트 상태로 실행되었고 a.py는 import로 실행되었기 때문에 로드 상태로 실행된 겁니다.

그러면 if __name__ == ‘__main__’을 왜 넣을까요. 그것은 import를 통해 실행되지 말아야 할 코드를 넣기 위함입니다. 스크립트로만 실행할 코드이고 누군가 내 파일을 import할때는 이 코드를 실행하지 말라는 목적으로 쓰는겁니다.

파이썬을 이렇게 설계한 이유는 의존(import)을 위한 코드가 동시에 실행도 할 수 있게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지금 막 언어 문법만 배우는 단계이거나 다수 파일이 들어간 프로젝트 단위의 코드를 작성해보지 않으셨다면 와닿지 않는 내용일 수 있습니다. 그러시다면 이렇게 나누면 됩니다.

클래스와 함수 정의는 main 밖에, 클래스를 생성하고 함수를 호출하는 코드는 main안에 작성하세요.

</aside>

단순 구현 (초중고 숙제, 대학 과제, 학원 수업, 등등)

<aside> ❓ 과제 좀 도와주세여! (자바)

</aside>